Business Area

신뢰와 경험, 고객중심 가치를 지향합니다.

Static Axial Compression Load Test, SLT

압축정재하시험

관련기준

KS F 2445 (말뚝의 압축 정재하시험 방법)

ASTM D1143 / D1143M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 Elements Under Static Axial Compressive Load)

시험개요

말뚝의 연직지지력 확인을 위해 실시하며 목적에 따라 설계하중 결정을 위한 설계단계, 설계하중 확인을 위한 시공초기단계, 시공된 말뚝의 품질확인을 위한 시공중 또는 시공완료 후 실시 한다.
시험하중의 조달 방법에 따라 실중량물(콘크리트블럭, 철근 등)을 이용한 압축정재하시험, Anchor 를 이용한 압축정재하시험, 주변에 시공된 말뚝을 반력으로 이용한 압축정재하시험으로 구분된다.

정재하시험(반력말뚝)

정재하시험(Anchor)

정재하시험(실하중)

Dynamic Load Test, DLT

동재하시험

관련기준

KS F 2591 (말뚝의 동적 재하시험 방법)

ASTM D4945 (Standard Test Method for High-Strain Dynamic Testing of Deep Foundations)

시험개요

말뚝의 정적 압축지지력 확인을 주목적으로 하며 항타 시 말뚝거동측정(항타압축 및 인장응력), 항타장비 성능측정(에너지효율 등)과 시간경과에 따른 지지력 변화 등을 측정하여 시공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시험시점에 따라 항타병행시험(EOID:End Of Initial)과 일정한 시간경과 후 실시하는 재항타시험(Restrike)으로 구분한다.

동재하시험 장치 개요도

동재하시험(기성말뚝)

동재하시험(현장타설말뚝)

Lateral Load Test, LLT

수평재하시험

관련기준

국내 KS F규정 없음

ASTM D3966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 Elements Under Static Lateral Load)

시험개요

말뚝 수평 재하시험(Lateral Load Test, LLT)은 말뚝이 수평 하중(횡방향 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주로 교량, 항만 구조물, 방파제, 고층 건물 기초 등에서 바람, 지진, 조류 등의 횡력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수평재하시험의 가장 큰 목적은 수평거동(p-y곡선, 하중-변위 곡선 등)을 바탕으로 수평 안정성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임에 유의 하여야 한다.

수평재하시험 장치도

수평재하시험

Static Axial Tension Load Test, ULT

인발재하시험

관련기준

국내 KS F규정 없음

ASTM D3689 / D3689M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 Elements Under Static Axial Tensile Load)

시험개요

말뚝의 인발재하시험은 수직이나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단말뚝 또는 군말뚝의 정적 인발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인발재하시험은 말뚝설계 시 풍하중 또는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인발저항력 산정에 중요하지만 압축재하시험 결과의 보완, 말뚝의 주면마찰력 크기의 규명 등을 위해서도 효과적이다.
참고로 동재하시험 결과를 분석(CAPWAP)하여 하중방향에 따른 마찰력감소계수(SFRF: Skin Friction Reduction Factor)를 적용하여 추정하기도 한다.

인발재하시험 장치도

인발재하시험

Bi-Directional Load Test, BDLT

양방향재하시험

관련기준

KS F 7003(말뚝의 양방향 재하시험)

ASTM D8169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s Under Bi-Directional Static Axial Compressive Load)

시험개요

양방향 재하시험(Bi-Directional Load Test, BDLT)은 말뚝 내부에 유압식 셀(예: Osterberg Cell, O-Cell)을 설치하여 하중을 위아래로 분리하여 가하는 시험 방법이다.
기존의 정재하시험(SLT)보다 큰 하중을 경제적으로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정재하시험으로는 불가능하던 대규모 하중재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선단부 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을 직접 분리하여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선단지지력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이 작용하중의 반력으로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상향과 하향의 변위가 동일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반의 하중으로도 주면 또는 선단이 파괴되기 전까지 재하장치 용량의 최대 2배의 하중을 가하는 효과가 있다.

양방향재하시험 장치도

양방향재하시험

Pile Integrity Testing

건전도(검측공)시험 / CSL(Cross-hole sonic logging test, 소닉테스트)

관련기준

ASTM D6760 (Standard Test Method for Integrity Testing of Concrete Deep Foundations by Ultrasonic Crosshole Testing)

시험개요

말뚝의 건전도(검측공, 소닉테스트)시험은 송신부와 수신부의 두 가지 압전 Probe를 하강 및 상승함으로써 수행된다.
Probe는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수평적인 전달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송신부에서 전파되는 파는 음향파의 열로 구성되는 구형파면으로 방사한다.
수신 Probe는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파면의 한 부분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검측공내의 말뚝결함을 검사한다.

건전도(검측공)시험 장치도

건전도(검측공)시험

Pile Integrity Testing

건전도(비검측공)시험

관련기준

ASTM D5882 (Standard Test Method for Low Strain Impact Integrity Testing of Deep Foundations)

시험개요

PIT collector를 이용한 저변형률 건전도 시험(Low strain pile integrity test)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파장의 특성을 분석하여 말뚝의 길이와 형상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PIT 시험은 튜브 매설 등 사전준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시험말뚝을 선정할 수 있으며 소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시험결과로부터 말뚝의 전체 형상을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건전도(비검측공)시험 장치도

건전도(비검측공)시험